[임우기의 유역문예]

(임우기 문학평론가)

유역문예론으로 본 김수영의 시

시를 포함하여 훌륭한 문예 작품은 그 안에 투사된 작가의 정신이 은닉된 채로 살아있어요. 좋은 예술 작품은 작가의 의식과 무의식의 내용을 깊이 품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외에도 창작된 예술작품 자체가 ‘저절로 그러함(自然)’의 자율성을 가지고 자기 바깥에 기화氣化하고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절로 그러함 혹은 무위이화가 김수영 시인이 반시에서 말하는 ‘외경에 찬’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역문예론의 관점에서 말하면 예술 작품은 ‘창조적 유기체’로서 자기 안에 신령한 기운을 밖으로 ‘밝히려는’ 본성을 가진다는 점입니다.

동학 주문에 나오는 ‘시천주 조화정’인 것이지요. 여기서 ‘조화’를 풀이하면 무위이화無爲而化이니, 적어도 예술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작품은 작가와 독자 양측이 어떤 지적 수준이냐 어느 정도 이해 수준이냐 따위와 상관없이 그 작품의 안팎에서 기화를 접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예술 작품이 스스로 자율성을 가진 생명이고 이 생기가 저절로 날 때 귀신이 들고나는 것이 보이게 됩니다. 독자나 감상자가 예술 작품을 통해 귀신의 조화(한울님)를 감지할 때, 조화의 기운에 ‘밝음’을 느끼게 되고 이때 가화假化가 나타난다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이는 김수영 시를 접하고 귀신의 작용을 마음에서 느끼고 귀신을 보는 것이지요.

김수영의 초기 시에 陰陽五行과 易 등 전통 사상이 깊이 드리워져 있다는 것은 존재론과 우주론의 차원에서 살펴야 합니다. 우주론으로 살피면 귀신의 조화가, 존재론으로 살피면 무적 존재가 감지됩니다.

귀신의 조화는 무위이화이니, 무위이화가 기운으로 드러나고, 존재론으로 보면, 전통 무의 존재가 현현하는 것입니다. 유역문예론의 시각에서 보면, <풀>은 천지간의 무위이화 곧 귀신을 보고 이 생명의 기운 한가운데서 시적 화자에 은폐된 巫가 부르는 생명 예찬과 외경畏敬의 노래입니다. 이 시를 깊이 읽는 독자들은 ‘가화의 기운’이 전해지는 것이죠.

이 시에서 주문의 반복 형식이 중요한 기법입니다. 김수영이 곧잘 쓰는 기교이지요. 그런데 조금 깊이 생각해보면, 김수영의 <시여 침을 뱉어라>에서 역설한 시론, “중요한 것은 시의 예술성은 무의식적이라는 것이다. 시인은 자기가 시인이라는 것을 모른다. 자기가 시의 기교에 정통하고 있다는 것을 모른다. 그리고 그것은 시의 기교라는 것이 그것을 의식할 때는 진정한 기교가 못 되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이다.” 김수영의 시에서 주문의 반복 형식을 읽으면, 이 말이 떠올라요.

주문의 형식이 이 말에 부합하거든요. 귀신을 부르는 것이죠. 혹은 시에서 귀신의 들고남을 직관하고 있는 것이죠. 그 귀신의 조화, 곧 無爲而化를 시어들로서 풀어놓는 것이 무적 존재입니다.

여기서 알아야 할 점은 시의 형식이란 외부에서 주어진 형식이 아니라, 귀신의 활동이 저절로 낳는 형식이 진실한 형식이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메타포를 상상력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메타포가 귀신이 들려야 메타포가 되는 것입니다. 귀신 들린 메타포가 시입니다. 또는 귀신의 메타포가 시입니다.

©문학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